열심히 일하고 노력했다면 누구나 편안한 은퇴 생활을 해야 합니다.
글라이드는 모두의 노후가 풍요롭고 편안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노력으로 투자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고심하고 늘 불안하게 지켜보지 않아도 되도록, 원하는 목표에 안전하게 다다를 수 있도록 글라이드가 함께 합니다.
닐슨 영주
Founder & CEO
성균관대학교 SKK GSB finance 교수
전 Quantavium CIO,
Citi, J.P.Morgan systematic trading head,
Research at Barclays Global Investors,
Allianz Dresdner Asset Management
김현미
Chief Content Officer
경제경영과 재테크 분야의 출판 전문가
한스미디어, 청림출판,
비즈니스북스 근무
충남대 불어불문과 졸업
[인터뷰] 한국퇴직연금데이터 대표 영주 닐슨 "국내 퇴직연금 ETF 상품 지나치게 테마 중심"
“국내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상품들이 지나치게 테마 위주인 것은 부담이다.” 지난 27일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국제관에서 만난 영주 닐슨 한국퇴직연금데이터 대표의 평가다.
기사“퇴직연금 은행 쏠림 여전···미래에셋 TDF 인기”
라이프·은퇴 설계 서비스 기업 한국퇴직연금데이터는 국내 퇴직연금 시장과 디폴트옵션(퇴직연금 사전지정운영제도)에 대한 심층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월 28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퇴직연금 제도 현황은 물론 시장 성장 추이, 주요 상품 유형 및 수익률, 시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이슈와 과제를 총망라한다.
기사영주 닐슨 "퇴직연금 위험자산 한도, 100%까지 허용을"
" 영주 닐슨 성균관대 SKK GSB(경영전문대학원) 교수(사진)는 27일 인터뷰에서 “지금처럼 퇴직연금 적립금의 90%를 예·적금 등 원리금 보장형에 방치해선 국민 노후를 보장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재 퇴직연금 자산의 70%로 제한하고 있는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 한도를 폐지하고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에서 원리금 보장형을 제외해야 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기사“AI가 투자 문턱 낮춰…6주면 누구나 알고리즘 투자 가능”
2025년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노후자금을 위한 연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영주 닐슨 성균관대 SKK GSB 교수는 특히 퇴직연금을 개선해 노후소득대체율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뉴욕 헤지펀드 퀀타비움 최고투자책임자, 시티그룹 뉴욕 G10 채권 퀀트 트레이딩 대표, 베어스턴스 매니징 디렉터…. 영주 닐슨 성균관대 SKK GSB 교수는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15년간 독보적인 경력을 쌓아 온 퀀트 투자 전문가다.
기사"많이 내고 더 가져가자"…국민연금 수익률 1위 스웨덴 비결은
스웨덴 직장인들은 소득의 18.5%를 국민연금에 넣는다. 우리나라 국민연금과 같은 구조의 ‘소득연금’에 16%를 넣고, 소득의 2.5%는 스스로 투자 방식을 결정하는 ‘프리미엄연금’에 쌓는다. 이는 가입자가 특별히 운용사와 상품을 지정하지 않으면 정부가 운영하는 AP7에 적립된다. 우리나라의 퇴직연금처럼 가입자에게 투자의 자유를 주면서도 디폴트 옵션으로 정부가 양질의 상품을 개발해 운영하는 것이다.
기사“퇴직연금 방치 말고 TDF로 적극 운용을”
아이랩은 영주닐슨 성균관대 SKK GSB 교수가 개인의 재무·비재무 데이터와 금융 데이터를 결합해 은퇴·라이프 계획 관련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연구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기관 투자자는 물론 일반 기업에도 회사별 맞춤 TDF 구성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사KCGI운용 상반기 퇴직연금 TDF ‘약진’, 목대균 펀드 운용 순발력 빛났다
퇴직연금 재무데이터 전문 기업 아이랩(ilab)이 3일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TDF 시장에서 만기별 수익률이 모두 중위권에 머물렀던 KCGI가 올해 상반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기사퇴직연금 격전지 TDF 펀드 ‘찐실력’ 살펴보니
은퇴 시점에 따라 운용 가능한 ‘타깃데이트펀드(TDF)’ 시장에서 운용사별 진짜 실력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TDF는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 배분과 포트폴리오 조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상품이다. 6월 TDF 시장에선 우리 시장에 특화한 벤치마크 ‘MK-Glide TDF 지수’ 대비 한국투자신탁운용과 NH아문디자산운용 성과가 두드러졌다.
기사‘10조 시대’ TDF…이젠 묻지마 투자 마세요
10조원 규모로 성장한 타깃데이트펀드(TDF) 시장이 또 한 번의 변화를 맞는다. 우리나라 시장에 특화한 TDF 벤치마크 지수가 처음 등장해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기사알짜 TDF만 콕 짚어줘요
퇴직연금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MK-Glide TDF 지수가 출시되었다. 매일경제와 아이랩의 협력으로 탄생한 이 지수는 한국인 은퇴 포트폴리오에 특화되어 금융사들의 수익률 경쟁을 촉진할 전망이다. 특히, 투자자들은 객관적인 지수를 기반으로 한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더 나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기사이제 퇴직연금 펀드 수익률 비교해요
매일경제와 아이랩이 TDF 벤치마크 지수 'MK-아이랩 GLIDE'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TDF 벤치마크 지수는 금융사별 실력을 평가할 수 있어 TDF 시장의 수익률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 전망이다.
기사인사이트랩, TDF 보고서 첫 발간
인사이트랩이 3분기 타깃데이트펀드(TDF) 시장 분석 보고서를 발표, 한국 TDF 시장의 운용자산이 11조4157억원으로 작년 대비 9.25% 증가했음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의 TDF가 최저 수수료를 기록했고, 한국투자신탁운용의 TDF가 수익률에서 선두를 차지했다.
기사경쟁 붙붙은 퇴직연금 시장···2023 TDF 한투운용 ‘두각’
사전지정운영제도 도입으로 TDF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지난해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대부분 빈티지에서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아이랩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TDF는 주식 비중이 40~80%로 미국과 대비되며, 삼성자산운용의 TDF가 가장 낮은 수수료를 자랑한다.
기사